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자스코테
- 국비IT
- 정보처리기사실기
- 스프링
- react
- 타입스크립트
- 자바의정석
- VUE
- 정보처리기사
- 리액트
- spring
- ReactNative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typescript
- 정보처리기사요약
- 자바스크립트 코딩테스트
- 오라클
- 국비코딩
- 평일코딩
- Oracle
- 정보처리기사실기정리
- 리액트네이티브
- 코딩테스트
- 정보처리기사정리
- javascript
- Java의정석
- 자바스크립트
- CSS
- php
- 이안의평일코딩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Generics (1)
이안의 평일코딩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기초 (5) - 제네릭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기초 (5) - 제네릭
				제네릭이란? 제네릭(Generics)이란 함수를 정의할 때 타입을 비워놓은 상태에서 타입이 뭐가 들어갈 것인지 호출하는 시점에서 정의하는 것으로, 타입을 추론해서 최종 반환값까지 붙일 수 있다는 타입 정의에 대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function logText(text: T):T { console.log(text); return text; } // : 함수의 타입을 string으로 쓰겠다 // 파라미터와 반환값이 string이 될 것이라고 제네릭으로 선언 const str = logText('abc') 제네릭을 쓰기 위한 빌드업 - 함수 중복 선언, 유니온 타입의 단점 아래와 같이 기존의 타입 정의 방식으로 각각 정의해서 함수를 중복으로 선언하면 문제없이 사용가능하지만 유지보수관점에서는 타입을 단순히..
				Front-end/TypeScript
				
				2021. 1. 21.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