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의정석
- javascript
- 평일코딩
- react
- 이안의평일코딩
- CSS
- 타입스크립트
- Oracle
- 국비코딩
- typescript
- 리액트
- 스프링
- 자바스크립트 코딩테스트
- 자바스크립트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Java의정석
- spring
- ReactNative
- 정보처리기사실기
- 정보처리기사요약
- 자스코테
- 코딩테스트
- VUE
- 정보처리기사실기정리
- php
- 국비IT
- 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정리
- 리액트네이티브
- 오라클
- Today
- Total
목록Study (42)
이안의 평일코딩
책 소개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보내고, 컴퓨터로 일을 합니다. 또 음식점에서 키오스크로 주문하고, 가상현실에서 게임을 즐깁니다. IT는 더 이상 전문가들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의 삶 곳곳을 IT가 점령하고 있고, 그 속도는 계속해서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제 IT를 모르고선 세상을 이해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 책은 비전공자를 위한 ‘IT 기초 문법서’로, 한 번쯤 들어봤을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체제, 네트워크, API, JSON,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처리,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깃(Git), 디자인 이슈 등 다양한 지식을 담고 있습니다.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웠던 각각의 지식들을 친숙한 이야기로 쉽게 풀어냄으로써 IT 산업의 전체적인 큰 그림을 그릴 수..
책 소개 많은 IT 종사자들이 안 된다고 말하는 개발자로 인해 협업에 어려움을 겪는다. 우리는 IT 비전공자로서 소통을 잘하기 위해 개발자의 입장에서 많이 생각하게 됐고, 이 과정을 통해 개발자의 안 된다는 말에 담겨 있는 여러 가지 의미를 깨달았다. 이 책에는 우리의 성장 과정에서 발견한 협업 노하우들을 담아냈다. 2021년 03월 25일 출간 240쪽, 김종철, 김수저 저 리뷰 완독일: 2022-04-17 개발자로 회사에 취직한 지가 벌써 13개월이 지났다. 첫 일본계회사도 13개월을 다니고 관뒀었는데 인생에서 개발자로 일한 기간이 가장 긴 셈이다. 이전 회사에서 나는 내 담당일만 했고 내 팀원들과 대화를 나눴지만 다른 팀과는 가끔 점심 식사를 함께하거나 할 뿐이었다. 하지만 개발자는 달랐다. 프론트..
위의 유데미 강의 13강 Exports와 Imports의 내용이다. default 키워드와 같이 export하는 방법과 const와 함께 export하는 경우가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이 뭘지 고민해보자. export의 두 종류 // person.js const person = { name: 'Max' } export default person // utility.js export const clean = () => { ... } export const baseData = 10; 위와 같이 export된 경우 import 시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다른 export에 따른 import 방법 먼저, default 키워드로 export된 경우이다. // app.js import person from './..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에는 DFS(Depth 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과 BFS(Breadth First Search: 넓이 우선 탐색) 두 가지가 있다. DFS는 루트노드에서 시작해 다음 분기로 넘어가기 전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하는 방식을 말한다. BFS는 루트노드에서 시작해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하는 방식으로 시작 정점으로부터 가까운 정점을 먼저 방문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정점을 나중에 방문하는 순회 방법이다. 모든 노드를 방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DFS를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기 위해서는 BFS를 사용한다. 검색 속도 자체는 BFS가 빠르지만 DFS가 더 간단하다. 검색 대상 그래프가 크거나 경로의 특징을 저장해둬야 하는 문제는 DFS를, 검색 대상의 규모가 크지 않고 최단거..
그래프는 인접행렬(adjacency matrix) 혹은 인접리스트(adjacency list)로 표현한다. 노드 갯수가 적을 때는 인접행렬로도 충분하지만 노드 수가 많아지면 인접리스트를 이용하는게 효율이 좋다. (시간복잡도가 훨씬 줄어든다.) 인접행렬은 node와 edge의 정보를 행렬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edge와 상관없이 모든 node를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node의 수가 많을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난다. (node의 개수만큼 반복문을 돌아야 하기 때문) 인접리스트는 node와 edge의 정보를 리스트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연결된 것만 표시하므로 인접행렬에 비해 간단하다. // 인접행렬 function solution(n, arr) { let answer = 0; let graph = Array..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와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는 이동방향의 유무 차이로 구분한다. 방향 그래프는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이 정해져있고 무방향은 명칭대로 방향이 없어 양쪽 다 가능하다. // 방향 그래프 let arr = [[1, 2],[1, 3],[1, 4],[2, 1],[2, 3],[2, 5],[3, 4],[4, 2],[4, 5]]; let graph = Array.from(Array(n + 1), () => Array(n + 1).fill(0)); for (let [a, b] of arr) { // arr 값 1개 씩 탐색 graph[a][b] = 1; // 방향 그래프에서 graph arr 에 1로 체크 } // 1로 체크되어 있으면 갈 수 있는 방향인 것 /..
0. 이진트리(binary tree)란 각각의 노드가 최대 두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 자료 구조로, 자식 노드를 각각 왼쪽 자식 노드와 오른쪽 자식 노드라고 한다. (참고로 트리 자료 구조란 노드들이 나무 가지처럼 연결된 비선형 계층적 자료구조를 말한다.) 1. 위 그림에서 각 점은 node 혹은 vertex라고 말하고 두 점을 잇는 선을 edge라고 한다. 그래프는 V(vertex 혹은 node), E(edge)의 집합이다. 따라서 G(V, E)로 표현하기도 한다.
재귀함수(Recursion)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재귀함수라 하는데, 반복문과 동일하지만 조합할 때 사용할 수있다. return하면 반환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함수에서는 종료를 의미하기도 한다. function solution(n){ function DFS(Level){ if(Level==0) return; else{ console.log(Level); // 3 2 1 DFS(Level-1); console.log(Level); // 1 2 3 } } DFS(n) } solution(3); console을 찍었을 때 왜 반대로 찍힐까? 재귀함수 이후에 찍은 console은 stack에 쌓여있다가 복귀(pop)를해서 가장 늦게 들어온 메서드부터 console을 출력한다. Stack 자료구조와 같이 F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