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의 평일코딩

25-2장 클래스 & 26장 ES6 함수의 추가 기능 본문

Study/JS Diver

25-2장 클래스 & 26장 ES6 함수의 추가 기능

이안92 2021. 7. 22. 15:33
반응형

25장클래스 p448~

 

p.448

- 프로토타입 기반 상속은 프로토타입 체인을 통해 다른 객체의 자산을 상속받는 개념이지만 상속에 의한 클래스 확장은 기존 클래스를 상속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확장(extends)하여 정의하는 것이다.

 

p.452

- 상속을 통해 클래스를 확장하려면 extends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속받을 클래스를 정의한다.

// 수퍼(베이스/부모)클래스
class Base {}

// 서브(파생/자식)클래스
class Derived extends Base {}

 

- 수퍼클래스와 서브클래스는 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 체인뿐만 아니라 클래스 간의 프로토타입 체인도 생성한다. 이를 통해 프로토타입 메서드, 정적 메서드 모두 상속이 가능하다.

 

p.454

- 매개변수 ...을 붙이면 Rest 파라미터가 된다. Rest 파라미터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들의 목록을 배열로 전달받는다.

 

p.455

- super를 호출하면 수퍼클래스의 constructor(super-constructor)를 호출한다.

// 수퍼클래스
class Base {
  constructor(a, b) {
    this.a = a;
    this.b = b;
  }
}

// 서브클래스
class Derived extends Base {
  // 다음과 같이 암묵적으로 constructor가 정의된다.
  // constructor(...args) {super(...args);}
}

const derived = new Derived(1, 2);
console.log(derived); // Derived {a: 1, b: 2}

- 수퍼클래스에서 추가한 프로퍼티와 서브클래스에서 추가한 프로퍼티를 갖는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면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를 생략할 수 없다. 이때 new 연산자와 함께 서브클래스를 호출하면서 전달한 인수 중에서 수퍼클래스의 constructor에 전달할 필요가 있는 인수는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서 호출하는 super를 통해 전달한다.

 

p.456

> super를 호출할 때 주의할 사항

1. 서브클래스에서 constructor를 생략하지 않는 경우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는 반드시 super를 호출해야 한다.

2.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서 super를 호출하기 전에는 this를 참조할 수 없다.

3. super는 반드시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서만 호출한다. 서브클래스가 아닌 클래스의 constructor나 함수에서 super를 호출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p.457

- 메서드 내에서 super를 참조하면 수퍼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 수퍼클래스
class Base {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sayHi() {
    return `Hi! ${this.name}`;
  }
}

//
class Derived extends Base {
  sayHi() {
    // super.sayHi는 수퍼클래스의 프로토타입 메서드를 가리킨다.
    return `${super.sayHi()}. how are you doing?`;
  }
}

const derived = new Derived('Lee');
console.log(derived.sayHi()); // Hi! Lee. how are you doing?

p.459

- 주의할 것은 ES6의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된 함수만이 [[HomeObject]]를 갖는다는 것이다. 메서드는 내부 슬롯 [[HomeObject]]를 가져야 자신을 바인딩하고 있는 객체를 가리킬 수 있다. 즉, [[HomeObject]]를 가지는 함수만이 super 참조를 할 수 있다.

const obj = {
  // foo는 ES6의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한 메서드다. 따라서 [[HomeObject]]를 갖는다.
  foo() {},
  
  // bar는 일반함수로 [[HomeObject]]를 갖지 않는다.
  bar: fucntion () {}
};

 

p.460

> 상속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과정

서브클래스의 super 호출 ->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과 this 바인딩 ->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초기화

-> 서브클래스 constructor로의 복귀와 this바인딩 -> 서브클래스의 인스턴스 초기화 -> 인스턴스 반환

// 수퍼클래스
class Rectangle {
  // 서브클래스가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되면 서브클래스 constructor 내부의 super 키워드 호출시
  // 수퍼클래스의 constructor(super-construcotr)가 호출된다.
  constructor(width, height) {
    // 2.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과 this 바인딩
    // 암묵적으로 빈 객체, 즉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this에 바인딩된다.
    console.log(this); // ColorRectangle {}
    
    // 3.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초기화
    this.width = width;
    this.height = height;
  }
  
  getArea() {
    return this.width * this.height;
  }
  
  toString() {
    return `width ${this.width}, height = ${this.height}`;
  }
}

// 서브클래스
class ColorRectangle extends Rectangle {
  constructor(width, height, color) {
   // 1. 서브클래스의 super 호출
   // 서브클래스는 자신이 직접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수퍼클래스에게 인스턴스 생성 위임
   // 이것이 바로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서 반드시 super를 호출해야 하는 이유
    super(width, height);
    // 4. 서브클래스 constructor로의 복귀와 this 바인딩
    // super가 반환한 인스턴스가 this에 바인딩된다.
    console.log(this); // ColorRectangle {width: 2, height: 4}
    
    // 5. 서브클래스의 인스턴스 초기화
    this.color = color;
    // 6. 인스턴스 반환
    // 완성된 인스턴스가 바인딩된 this가 암묵적으로 반환된다.
    console.log(this); // ColorRectangle {width: 2, height: 4, color: "red"}
  }
  
  // 메서드 오버라이딩
  toString() {
    return super.toString() + `, color = ${this.color}`;
  }
}

const colorRectangle = new ColorRectangle(2, 4, 'red');
console.log(colorRectangle); // ColorRectangle {width: 2, height: 4, color: "red"}

// 상속을 통해 getArea 메서드를 호출
console.log(colorRectangle.getArea()); // 8
// 오버라이딩된 toString 메서드를 호출
console.log(colorRectangle.toString()); // width = 2, height = 4, color = red

 

 

26장

p.470

- 호출할 수 있는 함수 객체를 collable이라 하며, 인스턴스는 생성할 수 있는 함수 객체를 constructor,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함수 객체를 non-constructor라고 부른다. 

 

p.471

-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명확한 구분이 없으므로 호출 방식에 특별한 제약이 없고 생성자 함수로 호출되지 않아도 프로토타입 객체를 생성했고 이는 혼란스러우며 실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성능에도 좋지 않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S6에서는 함수를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함수, 메서드, 화살표 함수 세 가지 종류로 명확히 구분했다.

 

- 일반 함수는 constructor이지만 ES6의 메서드와 화살표 함수는 non-constructor다.

 

- ES6 사양에서 메서드는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된 함수만을 의미한다. ES6 사양에서 정의한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non-constructor다. 따라서 ES6 메서드는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없고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고 프로토타입도 생성하지 않는다.

const obj = {
  x: 1,
  // foo는 메서드다.
  foo() { return this.x; },
  // bar에 바인딩된 함수는 메서드가 아닌 일반 함수다.
  bar: function() { return this.x; }
};

console.log(obj.foo()); // 1
console.log(obj.bar()); // 1

new obj.foo(); // TypeError: obj.foo is not a constructor
new obj.bar(); // bar {}

obj.foo.hasOwnProperty('prototype'); // false
obj.bar.hasOwnProperty('prototype'); // true

p.472

- ES6 메서드는 자신을 바인딩한 객체를 가리키는 내부 슬롯 [[HomeObject]]를 갖기 때문에 super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p.473

- ES6 메서드는 본연이 기능(super)을 추가하고 의미적으로 맞지 않는 기능(constructor)은 제거했다.

 

p. 474

> 화살표 함수

-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는 function 키워드 대신 화살표(=>, fat arrow)를 사용하여 기존의 함수 정의 방식보다 간략하게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내부동작도 기존의 함수보다 간략하고 콜백 함수 내부에서 this가 전역 객체를 가리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용하다.

 

p. 476

- 화살표 함수도 일급 객체이므로 Array.prototype.map, filter, reduce같은 고차 함수(Higher-Order Function, HOF)에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함수 표현식보다 표현이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다.

// ES5
[1, 2, 3].map(function (v) {
  return v * 2;
});

// ES6
[1, 2, 3].map(v => v * 2); // [2, 4, 6]

 

- 화살표 함수와 일반 함수의 차이

1. 화살표 함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non-constructor다.

const Foo = () => {};
// 화살표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없다.
new Foo(); // TypeError: Foo is not a constructor
// 화살표 함수는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다.
Foo.hasOwnProperty('prototype'); // false

2. 중복된 매개변수 이름을 선언할 수 없다.

// 일반 함수
function normal(a, a) { return a + a; }
console.log(normal(1, 2)); // 4

// 화살표 함수
const arrow = (a, a) => a + a;
// SyntaxError: Duplicate parameter name not allowed in this context

3.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을 참조하면 스코프 체인을 통해 상위 스코프의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을 참조한다.

 

p.478

> this

- 화살표 함수가 일반 함수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this다. this 바인딩은 함수의 호출 방식, 즉 함수가 어떻게 호출되었는지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된다. 다시 말해, 함수를 정의할 때 this에 바인딩할 객체가 정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가 어떻게 호출되었는지에 따라 this에 바인딩할 객체가 동적으로 결정된다.

 

p.480

- ES6에서는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여 "콜백 함수 내부의 this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참조하면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그대로 참조한다. 이를 lexical this라 한다. 이는 마치 렉시컬 스코프와 같이 화살표 함수의 this가 함수가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p.483

// Bad
const person = {
  name: 'Lee',
  sayHi: () => console.log(`Hi ${this.name}`)
};
person.sayHi(); // Hi

// Good
const person = {
  name: 'Lee',
  sayHi() {
    console.log(`Hi ${this.name}`)
  }
};

person.sayHi(); // Hi Lee

- sayHi 프로퍼티에 할당한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인 person을 가리키지 않고 상위 스코프인 전역의 this가 가리키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로 메서드를 정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메서드를 정의할 때는 ES6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한 ES6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487

> Rest 파라미터

- 화살표 함수로 가변 인자 함수를 구현해야 할 때는 반드시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해야 한다. Rest 파라미터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들의 목록을 배열로 전달받는다.

function foo(...rest){
  // 매개변수 rest는 인수들의 목록을 배열로 전달받는 Rest 파라미터다.
  console.log(rest); // [1,2,3,4,5]
}

foo(1,2,3,4,5);

 

- Rest 파라미터는 이름 그대로 먼저 선언된 매개변수에 할당된 인수를 제외한 나머지 인수들로 구성된 배열이 할당되므로 Rest 파라미터는 반드시 마지막 파라미터이어야 하고 단 하나만 선언할 수 있다.

function foo(param1, param2, ...rest){
  console.log(param1); // 1
  console.log(param2); // 2
  console.log(rest); // [3,4,5]
}

bar(1,2,3,4,5);

 

p.489

- 함수와 ES6 메서드는 Rest 파라미터와 arguments 객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arguments 객체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로 가변 함수를 구현해야 할 때는 반드시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해야 한다.

 

-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의 개수만큼 인수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인수가 전달되지 않은 매개변수의 값은 undefined인데 이를 방치하면 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ES6에서 도입된 매개변수 기본값을 사용하면 함수 내에서 수행하던 인수 체크 및 초기화를 간소화할 수 있다.

function sum(x = 0, y = 0) {
  return x + y;
}

console.log(sum(1 ,2)); // 3
console.log(sum(1));    // 1

function logName(name = 'Lee') {
  console.log(name);
}

logName();          // Lee
logName(undefined); // Lee
logname(null);      // null
반응형

'Study > JS Di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장 Number & 29장 Math & 30장 Date & 31장 RegExp  (0) 2021.07.29
27장 배열  (0) 2021.07.27
25-1장 클래스  (0) 2021.07.20
24장 클로저  (0) 2021.07.15
22장 this & 23장 실행 컨텍스트  (0) 2021.07.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