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정보처리기사실기
- 자바스크립트 코딩테스트
- 리액트
- 타입스크립트
- 정보처리기사정리
- 국비코딩
- spring
- Oracle
- Java의정석
- 스프링
- CSS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오라클
- 리액트네이티브
- react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php
- ReactNative
- 평일코딩
- 정보처리기사
- VUE
- 이안의평일코딩
- typescript
- 자스코테
- 국비IT
- 정보처리기사실기정리
- 정보처리기사요약
- 코딩테스트
- 자바의정석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단일책임원칙 (1)
이안의 평일코딩

✍🏻 단일 책임 원칙 (SRP) 원래 정의는 "모든 클래스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원칙은 해석하기 가장 쉽습니다. "모든 함수/모듈/컴포넌트는 정확히 한 가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라는 정의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5가지 원칙 중 SRP는 가장 따르기 쉽지만 코드 품질이 크게 향상하기 때문에 가장 영향력 있는 원칙이기도 합니다. 컴포넌트가 한 가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작업을 수행하는 큰 컴포넌트를 더 작은 컴포넌트로 나눔 주요 컴포넌트 기능과 관련 없는 코드를 별도의 유틸리티 함수로 추출 관련 있는 기능들을 커스텀 hook으로 캡슐화 👨🏻💻 React에 적용해보자! 이제 이 원칙을 적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
Front-end/React
2024. 2. 11. 18:02